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Java
- exception
- EnhancedFor
- 자동차수리시스템
- 컬렉션 타입
- 메소드오버로딩
- 오라클
- 예외처리
- 정수형타입
- oracle
- cursor문
- 집합_SET
- 제네릭
- 자바
- 대덕인재개발원
- 환경설정
- 컬렉션프레임워크
- NestedFor
- 사용자예외클래스생성
- 예외미루기
- 객체 비교
- 다형성
- 한국건설관리시스템
- 인터페이스
- GRANT VIEW
- abstract
- 생성자오버로드
- 추상메서드
- 참조형변수
- 어윈 사용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Java/Java_JSP Model2 (11)
거니의 velog

1.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 보통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화면은 디자이너가 맡아서 구현하고, 데이터베이스 연동 같은 비즈니스 로직은 프로그래머가 알아서 구현한다. 즉, 각자 맡은 기능을 좀 더 분업화해서 개발을 하는 것이다. * 일반적으로 어떤 일을 맡아 진행하게 되면 일단은 기존에 주로 사용했던 방법이나 방식을 따르게 마련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일일이 처음부터 새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이나 방식을 따른다. * 따라서 지금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표준화 소스 구조를 만들어 개발을 진행한다. 이러한 표준화된 소스 구조를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이라고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모델의 종류에는 모델1과 모델2 방식이 있다..
Java/Java_JSP Model2
2023. 9. 22.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