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xception
- GRANT VIEW
- 예외미루기
- 메소드오버로딩
- 예외처리
- 제네릭
- cursor문
- 대덕인재개발원
- oracle
- 다형성
- abstract
- 어윈 사용법
- NestedFor
- 환경설정
- 객체 비교
- 추상메서드
- 생성자오버로드
- 참조형변수
- Java
- 인터페이스
- 한국건설관리시스템
- 사용자예외클래스생성
- 컬렉션 타입
- 자동차수리시스템
- 집합_SET
- 컬렉션프레임워크
- 자바
- EnhancedFor
- 오라클
- 정수형타입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602)
거니의 velog

(3) REST API *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입력하고 읽어 와야 한다. 그런데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를 변경한다면 보안상 문제가 되지 않을까? 그래서 REST API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자신이 데이터를 조회, 생성, 삭제, 업데이트 하겠다고 요청하면, 서버는 필요한 로직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작업을 처리한다. * REST API는 요청 종류에 따라 다른 HTTP 메서드를 사용한다. HTTP 메서드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주로 사용하는 메서드는 다음과 같다. 메서드 설명 GET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한다. POST 데이터를 등록할 때 사용한다. 인증 작업을 거칠 때 사용하기도 한다...

4. nodemon 사용하기 * 서버 코드를 변경할 때마다 서버를 재시작하는 것이 꽤 번거로울 것이다. 이 때, nodemon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코드를 변경할 때마다 서버를 자동으로 재시작해 준다. * 우선 이 도구를 개발용 의존 모듈로 설치하자. $ yarn add --dev nodemon * 그 다음에는 package.json에 scripts를 다음과 같이 입력하자. { "name": "blog-backend", "version": "1.0.0", "main": "index.js", "license": "MIT", "dependencies": { "eslint-config-prettier": "^9.1.0", "koa": "^2.15.0" }, "devDependencies": { "eslint"..

3. Koa 기본 사용법 (1) 서버 띄우기 * 먼저 서버를 여는 방법부터 알아보자. 기존 index.js 파일에 작성한 코드를 지우고, 다음 코드를 입력하자. const Koa = require('koa'); const app = new Koa(); app.use((ctx) => { ctx.body = 'hello world'; }); app.listen(4000, () => { console.log('Listening to port 4000'); }); * 서버를 포트 4000번으로 열고, 서버에 접속하면 'hello world' 라는 텍스트를 반환하도록 설정했다. 서버를 한 번 실행해 보자. $ node src * 원래 node를 통해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할 때는 node src/index.js..

2. 작업 환경 준비 (1) Node 설치 확인 * Node.js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Node.js 런타임이 설치되어 있으야 한다. 우리는 이미 이전에 설치했다. Node.js가 잘 설치되어 있는지 터미널에서 다시 버전을 확인해 보자. $ node --version (2) 프로젝트 생성 * 이번에 만들 백엔드 프로젝트는 우리가 마지막으로 다룰 블로그 서비스와 연동할 서버이다. blog 디렉터리를 만들고, 그 내부에 blog-backend 디렉터리를 만들자. 해당 디렉터리에서 yarn init -y 명령어를 실행하여 패키지 정보를 생성한다. $ mkdir blog $ cd blog $ mkdir blog-backend $ cd blog-backend $ yarn init -y * 이 작업을 하고 ..

* 지금까지 리액트의 기본 개념을 대부분 다루어 보았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는 리액트 같은 프론트엔드 기술 만으로 필요한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경우가 흔하다. 데이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하려면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1. 소개하기(1) 백엔드* 우리는 서버를 만들어 데이터를 여러 사람과 공유한다. 그런데 서버에 데이터를 무작정 담지는 않는다. 데이터를 담을 때는 여러 가지 규칙이 필요하다. *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를 등록할 때 사용자 인증 정보가 필요할 수도 있고, 등록할 데이터를 어떻게 검증할지, 데이터의 종류가 다양하다면 어떻게 구분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 데이터를 조회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몇 개씩 보여 줄지, 그리고 또 어떻게 보여 줄지 등에 관한 로직..

* Continuouse Integration * Continuouse Deploy - 지속적 통합, 지속적 배포 * 회사에 가면 개발자들이 있고 SVN이나 GIT이 있을 것이다. 소스를 저장하는 저장소. * 개별 톰캣이 별도로 있고, 커밋해서 올린 코드가 있다. * 문제는 우리 컴퓨터는 실제 서비스 컴퓨터가 아니고 운영 서버가 따로 있다. * 바로 운영 서버로 올리지 않고 개발 서버에서 테스트를 진행한다. * 운영 서버에 톰캣이 깔려 있고 여기에 실제로 사용자들이 접속을 하는데, 통합 소스를 컴파일 하여 WAR 파일로 만들어 운영 서버로 넣는 것을 배포(Deploy)라 부른다. * 말은 간단하지만 운영서버는 보안상의 문제로 막혀 있고, 업데이트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에 이를 자동화 해야 한다. * ..

마이페이지 게시글관리 결제관리 내 정보 좋아요내역 알림내역 회원탈퇴 아이디 이름 성별 생년월일 이메일 핸드폰번호 우편번호 기본주소 상세주소 회원정보수정 활성화 프로필 사진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남성 여성 생년월일 이메일 이메일 사용가능 핸드폰번호 우편번호 우편번호 찾기 기본주소 상세주소 회원정보수정 플랜 제목 좋아요 날짜 바로가기 취소 ${likeItem.plTitle } ${likeItem.plLikeDate } 바로 가기 취소 좋아요 내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름(아이디) 알림 내용 바로가기 내역 삭제 ${rtAlert.realsenName }(${rtAlert.realsenId }) ${rtAlert.realsenContent } 바로 가기 바로 가기 없음 삭제 실시간 알림 내역이 존재하지 ..

커뮤니티 COMMUNITY 공지사항 총 ${pagingVO.totalRecord } 개 게시물 ${pagingVO.currentPage } / ${pagingVO.totalPage } 페이지 제목 작성자 제목+작성자 등록된 중요공지 게시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중요공지 ${imp.boTitle } ${imp.boContent } 파일 다운로드 ${fname } 번호 제목 등록일 작성자 조회수 등록된 공지사항 게시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notice.boNo } ${notice.boTitle } 중요공지 ${notice.boWriter } ${notice.boHit } ${pagingVO.pagingHTML } 등록 커뮤니티 COMMUNITY 공지사항 ${name } 제목을 입력해주세요 --%>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