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bstract
- 예외미루기
- cursor문
- 자바
- 제네릭
- 컬렉션프레임워크
- oracle
- 생성자오버로드
- 한국건설관리시스템
- 집합_SET
- 오라클
- 대덕인재개발원
- NestedFor
- 어윈 사용법
- 추상메서드
- 객체 비교
- Java
- 메소드오버로딩
- 다형성
- EnhancedFor
- 정수형타입
- 컬렉션 타입
- 예외처리
- 인터페이스
- GRANT VIEW
- 참조형변수
- 환경설정
- exception
- 사용자예외클래스생성
- 자동차수리시스템
- Today
- Total
목록2023/11/01 (6)
거니의 ve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MSCM/btszCMsMJF3/K7gxAX4XeMxJmGMKEzkVx1/img.png)
9. 배열 내장함수 * 이번에는 배열을 다룰 때 알고있으면 너무나 유용한 다양한 내장 함수들에 대하여 알아보자. (1) forEach * forEach 는 가장 쉬운 배열 내장함수이다. 기존에 우리가 배웠던 for 문을 대체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다음과 같은 텍스트 배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 만약, 배열 안에 있는 모든 원소들을 모두 출력해야 한다면 for 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현 할 수 있다. const superheroes =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닥터 스트레인지']; for (let i = 0; i < superheroes.length; i++)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jKSw2/btszw85ghQG/26vJNwCAH44OIZMxj6KWZK/img.png)
[p. 178-180] [request.jsp] 아이디 : 비밀번호 : 전송 [request_process.jsp] 전송된 요청 파라미터 : get 방식으로 보낸 id값 : get 방식으로 보낸 pw값 : - http://localhost/request.jsp [response.jsp] 현재 시간은 : : Google 홈페이지로 이동하기 [response_data.jsp] - http://localhost/response.jsp [Book.java] package vo; import java.io.Serializable; public class Book implements Serializable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4274700572038..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JlYam/btszyMAczaQ/fmTOqQWWyGzIbA1mKsPoyK/img.png)
8. 반복문 * 반복문은 특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구문이다. (1) for * for 문은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이다. 특정 값에 변화를 주어가면서 우리가 정한 조건이 만족된다면 계속 반복한다. for (let i = 0; i 0; i--) { console.log(i); } * for 문은 이렇게 숫자에 변화를 주어가면서 반복적으로 작업을 실행한다. (2) 배열과 for * 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50zq/btszuKcwDrp/DSrqXYTUCk4vkOhTkih8ik/img.png)
7. 배열 * 이번에는 배열을 배워보자. 이전에 배운 객체는 한 변수 혹은 상수에 여러 가지 정보를 담기 위함이었다면, 배열은 여러 개의 항목들이 들어 있는 리스트와 같다. * 예를 들어서 숫자 배열을 선언해 보자. const array = [1, 2, 3, 4, 5]; * 배열을 선언할 떄는 이렇게 [ ] 안에 감싸주면 된다. * 또한 배열 안에는 어떤 값이던지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객체 배열을 만들어 보자. const objects = [{ name: '멍멍이' }, { name: '야옹이' }]; * 배열을 선언하고 나서, n 번째 항목을 조회하고 싶을 땐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objects[n]; * 한 번 다음의 코드를 입력해 보자. const objects = [{ name: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9VDai/btszyLuuRjY/Z29K8XGcKhaKbmeXov0hk0/img.png)
[MySwing05.java] package day04; import java.awt.EventQueue; import javax.swing.JFrame; import javax.swing.JPanel; import javax.swing.border.EmptyBorder; import javax.swing.JLabel; import javax.swing.JTextField; import javax.swing.JButton; import java.awt.event.MouseAdapter; import java.awt.event.MouseEvent; public class MySwing05 extends JFrame { private JPanel contentPane; private JTextField t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Fzx7/btszy7KRiP9/0GsP7IAjkebgViOkPxJ820/img.png)
[out01.jsp] 내장 객체 INDEX CH05 - http://localhost/ch05/out01.jsp [out02.jsp] 내장 객체 INDEX CH05 아이디 : 비밀번호 : 전송 [out02_process.jsp] 내장 객체 INDEX CH05 스크립트릿/표현문을 이용한 출력 아이디 : 비밀번호 : JSTL을 이용한 출력 아이디 : 비밀번호 : - http://localhost/ch05/out02.jsp [ch05_test.jsp] 내장 객체 INDEX CH05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성별 남성 여성 핸드폰 번호 010 011 02 - - 주소 전송 [ch05_test_process.jsp] 내장 객체 INDEX CH05 스크립트릿/표현문을 이용한 출력 아이디 : 비밀번호 : 이름 : 성별 ..